사이트맵 통합검색
잔디종류/특성

잔디의 종류


화본과 식물인 잔디는 생육환경에 따라 여름에 건강한 난지형 잔디와 봄과 가을에 건강한 한지형 잔디로 분류된다. 난지형 잔디는 25oC~35oC의 따뜻한 지역에서 잘 자라며, 한지형 잔디는  15oC~25oC의 서늘한 지역에서 잘 자란다(표 1).


표 1. 잔디의 분류

대분류

중분류

종류/품종

 사용 예

난지형 잔디

 한국잔디류

 광엽(5.0mm이상, 들잔디, 야지)

 페어웨이, 러프

 (조이시아 그래스)

 중엽(3~4mm, 금잔디, 건희, 중지)

 페어웨이

 

 세엽(2mm이하, 비로드)

 그린(일본)

 버뮤다 그래스류

 건우(konwoo, 영양 번식형)

 피칭엔퍼팅장 및 운동장

 미라지, 샤이안, 사하라 등(종자 번식형)

 제주도 중문 골프장

 

 티프웨이 419(영양번식형)

 페어웨이(미국 남부지역)

한지형 잔디

 켄터키 블루그래스

어워드, 미드나잇, 유니크, 블랙스버그

 티, 그린칼라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엑센트, 팔머, 브라잇스타, 에드번트

 페어웨이(유럽)

 톨 훼스큐

 픽시에, 레벌쥬니어

 사면, 운동장

 크리핑 벤트그래스

 펜크로스, 펜이글

 그린



1. 난지형 잔디(Warm-season turfgrass)


우리나라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난지형 잔디는 한국잔디류이며 엽폭(葉幅, leaf width)에 따라 광엽(廣葉)형 한국잔디, 중엽(中葉)형 한국잔디, 세엽(細葉)형 한국잔디류로 구분된다. 따뜻한 지역에서 잘 자라는 버뮤다그래스 등도 이에 속한다.


난지형 잔디의 생육은 4월 중순부터 시작되어 여름 장마철에 최성기를 이루고 10월 중순부터 휴면(황변)에 들어간다. 번식력은 버뮤다그래스가 한국잔디류보다 여름의 번식력이 3배 이상 빠르다. 또한 난지형 잔디는 답압에 매우 강하나 밟지 않는 경우에 지나치게 신장하며, 음지에 약한 것이 단점이 있다(그림 1).


  

e5522853ba79da804b5fda82429f2d29_1592282568_7508.jpg
   

  

 




1) 광엽형 한국 잔디류(wide-leaf type)

옛날부터 우리나라에 많이 사용되는 잔디로 들잔디 또는 야지로 통용된다. 줄기가 드러누워 옆으로 퍼지며, 엽폭이 5mm이상으로 넓어 품질이 거친 단점이 있다. 그러나 토양적응성 및 내한성이 매우 강하고 관리가 필요 없는 잔디로 전 세계적으로 매우 우수한 잔디에 속한다. 공동묘지, 도로경사면, 비행장 활주로 등에 특히 적합한 잔디이다.


2) 중엽형 한국 잔디류(middle-leaf type)

자연교배로 만들어진 변종 잔디로 중지(中芝)라고도 불린다. 들잔디와 달리 줄기가 직립하여 볼 라이(ball lie, 축구장 및 골프장에서 잔디가 공을 떠받치고 있는 능력)가 우수하여 경기 수행력이  뛰어나며, 엽폭이 3-4mm 로 질감이 부드러우며, 녹색기간이 2주정도 길며, 병해에 강한 장점이 있다. 각종운동장, 골프장 페어웨이용, 개인 묘지 등 고품질을 요구하는 조경공간에 적합한 잔디이다.


3) 세엽형 한국 잔디(narrow-leaf type)

열대지역에 자생하는 잔디로 금잔디와 비로드 잔디가 이에 속한다. 엽폭이 1-2mm 로 매우 가늘어 고품질이다. 그러나 생육 속도가 느리고 탯치 발생이 많은 단점이 있다. 주로 정원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4) 버뮤다그래스(Bermudagrass)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잘 자라며 우리나라에서는 우산잔디로 불린다. 엽폭이 2-3mm로 부드럽고, 내건성이 강하며, 관리 요구도가 낮고, 한국잔디류에 비하여 생육속도가 3배 이상 빠른 장점이 있다. 그러나 내한성이 약하고, 겨울 월동시 색깔이 볏짚과 같이 지저분한 단점이 있다. 그중 내한성이 강한 품종은 우리나라 남부지역의 골프장, 운동장 및 조경 공간에서 활용이 가능할 수 있으나 중부지역에서는 지역에 따라 사용이 많이 제한된다. 한지형 잔디를 덧파종하여 1년에 10개월 이상 녹색을 유지하고자 할 경우 난지형 잔디 중에서 버뮤다그래스가 가장 적합하다(그림 2).



2. 한지형 잔디(Cool-season turfgrass)


최근에 그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한지형 잔디에는 블루그래스류, 라이그래스류, 훼스큐류, 벤트그래스류 등이 있다(그림 3, 4).


한지형 잔디의 생육패턴은 난지형 잔디와 달리 3월 중순에 생육을 시작하여 봄과 가을에 생육 최성기를 이루고 12월 중하순까지 녹색을 유지한다. 그러나 고온 다습한 여름철 환경에서는 생육이 크게 쇠퇴하므로 사용을 자제하거나 물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최근 난지형 잔디와 한지형 잔디의 결점을 보강하기 위하여 덧파종(overseeding)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덧파종 기술은 우리나라와 기후가 비슷한 지역에서 난지형 잔디로 조성된 골프장 및 운동장에 많이 이용된다. 덧파종은 난지형 잔디가 휴면에 들어가기 전 9월 초순에 한지형 잔디를 파종하여 이듬해 5월말까지 잔디면을 녹색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덧파종용 한지형 잔디로는 다른 한지형 잔디에 비하여 여름에 약한 한지형 잔디인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세엽 훼스큐 등이 적합하다.


  

   

e5522853ba79da804b5fda82429f2d29_1592282589_7436.jpg


 




 1) 블루그래스류(Bluegrasses)

한지형 잔디 중에서 한랭습윤 기후대와 전이지대(transition zone)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속으로 약 200여종이 있다. 이 속의 특징은 보트형의 엽끝을 가지고 있으며 엽의 중맥 양편에 엷은 줄이 있다. 또한 토양 pH가 6.0~7.0인 습하고 비옥한 미립질 토양에서 가장 생육이 왕성하다.


  ① 켄터키 블루그래스(Kentucky bluegrass)

켄터키 블루그래스는 한지형 잔디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종이다. 한랭습윤 지대, 전이지대,  한랭 반 건조지대, 건조지대에서도 관수만 잘되면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켄터키 블루그래스는 품질이 우수하고 건조 및 하고현상(summer depression)에 강하다. 발아속도는 생육 적기에 파종할 경우 15~20일이 소요된다. 초기 생육이 느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와 혼합(mixture)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생육형은 지하경이 있는 포복형이어서 포기형(柱形, bunch-type)인 톨 훼스큐,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등과 달리 사용 후 손상된 잔디 부분을 빠르게 회복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켄터키 블루그래스는 회복력과 봄철 녹색화가 빠르고 내습성이 강하며 내마모성도 좋다.


외국에서는 골프장의 티, 페어웨이, 러프 뿐만 아니라 공원, 묘지, 경기장 등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품종별 특성은 표 2와 같다.


    표 2. 켄터키 블루그래스 주요 품종별 특성

품  종

특     징

Award

․낮은 초장으로 티나 페어웨이에 적합하다.

․직립성이며 내음성이 강하다.

Nudestiny

․회복력이 빠르다.

․달라스팟, 브라운패치 등에 강하다.

Odyssey

․건조에 강하다.

․비료요구도가 낮다.

Mignight

․진녹색이며 내병성이 강하다.

․낮은 깎기에 적응력이 높다.

Nublue

․발아세가 좋으며 고온다습에 강하다.

․새포아풀보다 생육 경쟁력이 강하다.

․피쉬움 블라이트에 강하다.

Nuglade

․신초밀도 및 녹색도가 우수하며, 내음성이 강하다.

․엽고병과 녹병에 강하다.

․하고현상에 강하다.

Boutique

․내병성 및 내한성이 강하다.

․녹색도가 뛰어나다.

․초봄 생육이 빠르다.

Nasaus

․봄, 여름의 병충해에 강하다.

․녹색이 진하다.

․봄, 가을 잔디색이 매우 우수하다.

Bedazzled

․초봄 생육이 빠르다.

․진녹색이다.



  ② 러프 블루그래스 (Rough bluegrass)

원산지가 북유럽이고 한랭 습윤하고 음지인 환경에서 가장 잘 생육한다. 그러나 내한성, 내서성이 약하며 내마모성은 매우 약하다. 온난습윤지대(전이지대)에서는 난지형 잔디가 휴면상태일 때 겨울철 덧파종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포복경 생장을 한다.



 2) 라이그래스류(Ryegrasses)


라이그래스(Lolium 속)에는 약 10여종이 있지만 퍼레니얼 라이그래스(L. perenne)와 이탈리안 라이그래스(L. multiflorum)만이 잔디로 이용되고 있다. 발아속도가 빠르고 유묘의 생육이 왕성하여 혼파시 초기 녹화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① 퍼레니얼 라이그래스(Perennial ryegrass)

퍼레니얼 라이그래스는 아시아와 북아프리카의 온대지역이 원산지이다. 잔디 밀도가 높고 균일성이 좋으며 잎의 뒷면은 광택이 난다. 주형 생장형인 퍼레니얼 라이그래스는 발아 속도와 잔디면 조성률이 빠른 장점이 있다. 생육적기에는 파종 후 4-5일 만에 80%이상의 발아를 한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와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의 식별은 아형(어린 싹)으로 하는데 아형이 겹침형이면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이고 말림형이면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이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는 여름철이 건조한 유럽의 골프장 및 운동장에 많이 이용되며 초기 발아 및 생육속도가 한지형 잔디 중 가장 빠르고 질감이 좋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이 고온다습한 여름철 기후엔 내서성과 내답압성이 약한 단점이 있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의 품종별 특성은 표 3과 같다.


 표 3.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주요 품종별 특성

품  종

특     징

Accent 

․밀도가 높고 낮게 자라며 진녹색이다.

․회복력이 강하다.

․새포아풀보다 생존 경쟁력이 강하다.

․덧파종용으로 좋다.

Top Gun

․달라스팟 및 브라운 패치에 강하다.

․여름과 가을의 밀도가 매우 좋다.

Caddishack 

․달라스팟 및 엽고병에 강하다.

․겨울철 동계 피해가 적다.

Palmer Ⅲ

․생육속도가 빨라 초기 뗏장화가 빠르다.

․답압에 강하다.

Fairway

․고결화된 토양에도 잘 견딘다.

․발아와 착근이 빠르다.

Pizzazz

․봄철 밀도가 높다.

․질감이 좋고 브라운 패치에 강하다.

Paragon

․낮은 깎기 높이(5.0㎜)에 적응력이 높다.

․4계절 기후대(전이지대)에 강하다.



 ② 애뉴얼 라이그래스(Annual ryegrass, 이탈리안 라이그래스, Italian ryegrass)

이탈리안 라이그래스는 엽조직이 거친 편이고 연녹색을 띤다. 토양 pH 6.0~7.0인 비옥하고 습윤한 토양에서 가장 생육이 왕성하다. 그러나 근계 심도가 얕고 뿌리 발육이 늦은 단점이 있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와 마찬가지로 빠른 잔디밭 조성을 위한 종자혼합용 또는 덧파종용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의 내습성과 내서성은 퍼레이얼 라이그래스보다 약하다.



 3) 훼스큐류(Fescues)


훼스큐류는 약 100여종이 있으며 유럽이 원산지인 광엽의 훼스큐와 알라스카가 원산지인 세엽의 훼스큐로 나누어진다. pH가 5.5~6.5인 한랭습윤 지역에서 생육이 왕성하고 건조하고 척박한 산성토양에서도 잘 자란다.


 ① 톨 훼스큐(Tall fescue)

톨 훼스큐는 유럽이 원산지이며 주형생장을 하는 광엽형 잔디이다. 잔디면 조성 속도는 라이그래스보다는 늦지만 그 외의 한지형 잔디들보다는 빠른 편이다. 생육적기에 파종시 7~10일 후 발아한다. 뿌리의 발달은 넓고 깊어서 내서성, 내한성 및 내마모성이 높은 편이다. 또한 토양적응성이 높으며 내답압성 및 내척박성이 매우 강한 장점이 있다. 반면 엽폭이 넓어 질감이 거친 단점이 있다. 주요 품종별 특성은 표 4와 같다.


 표 4. 톨 훼스큐의 주요 품종별 특성

품  종

특     징

Arid 3

․낮은 깎기 높이(13.0㎜이하)에 강하고 밀도가 높다.

․발아와 착근이 빠르며 여름 밀도가 높다.

․고온, 건조, 병충해 및 내음성이 강하다.

․동계 녹색이 좋으며 그린업이 빠르다.

․브라운 패치에 강하다.

․켄터키 블루그래스와 혼파성이 좋다.

Inferno

․낮게 자라며 질감이 좋고 진녹색이다.

․답압과 브라운 패치에 강하다.

Pixie

․녹색도가 좋고 여름철 하고현상에 강하다.

․켄터키 블루그래스와 혼파성이 좋다.

Triple A

․밀도가 높고 질감이 좋다.

․음지 및 답압에 강하다.

․뿌리가 깊어 고온과 건조에 강하다.

Fawn

․초장이 길며 고온 건조에 강하다.

․Kentucky-31 보다 천이가 빠르다.

Kentucky-31

․고온 건조에 강하며 Fawn보다 다소 낮게 자란다.

․사면 녹화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2nd Millennium

․진녹색이다.

․고온다습에 강하고 여름철 밀도가 높다.



② 레드 훼스큐(Red fescue)

레드 훼스큐는 Festuca 속중에 잔디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한랭습윤 지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섬세한 엽조직, 높은 밀도 및 균일성이 우수하여 좋은 질감의 잔디밭을 형성한다.


레드 훼스큐는 한지형 잔디 중에서 건조하고 응달인 곳에서 생육이 가장 좋은 잔디로서 외국에서는 공원, 정원, 묘지 뿐만 아니라 페어웨이, 러프, 도로변 등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온난습윤 지역에서는 버뮤다그래스가 휴면중일 때 덧파종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레드훼스큐는 지하경 생육이 약하고 회복력이 느려서 티에는 사용이 부적합하다.


③ 츄잉 훼스큐(Chewings fescue)

츄잉 훼스큐는 한랭 습윤한 지역에 적합한 초종으로 주형생장을 한다. 그 외의 성상은 레드 훼스큐와 유사하다. 켄터키 블루그래스와 더불어 정원용, 경관용 잔디밭 조성을 할 때 종자 혼합용으로 이용되고 유럽에서는 그린에도 벤트그래스와 같이 혼파되기도 한다.


 4) 벤트그래스류(bentgrasses)

약 125종이 있으며 생장형은 주형생장(bunch type)에서부터 포복형 등 다양하다. 한지형 잔디 중 낮은 깎기 및 잦은 깎기에 대한 내성이 가장 강하며 높은 질감, 밀도 및 균일성이 우수한 잔디면을 형성한다. 대부분 영년생이며 봄철의 녹색화(그린 업)가 켄터키 블루그래스보다 늦다.


① 크리핑 벤트그래스(Creeping bentgrass)

크리핑 벤트그래스는 낮게(3.5~4mm) 깎을 때 우수한 밀도, 균일성 및 좋은 질감의 잔디면을 형성한다. 한지형 잔디 중에서 포복경으로 생장하며, 고온에 견디는 힘 및 내음성이 강하다(표 5).


토양은 수분 보유력이 높은 미립질 토양에서 가장 생육이 왕성하나 고결화된 토양에서는 생육이 극히 불량하며 내마모성도 약하다. 우리나라의 골프장 그린 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는 볼링 그린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표 5.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주요 품종별 특성

품  종

특     징

  L-93

․밀도가 높고 직립 성장을 한다.

․동계 녹색도가 좋고 봄에 일찍 그린 업이 된다.

․잔디조성이 빠르고 회복이 빠르다.

  Putter

․가을 밀도가 높고 답압에 강하다.

․발아가 조금 늦다.

  Crenshaw

․진녹색이며 밀도가 높다.

․겨울 녹색도가 낮고 탯치가 많다.

․더위에 강하다.

  Providence

․발아가 빠르다.

․답압에 강하다.

  SR-1020

․고온건조에 강하다.

․내한성이 약하다.

  Penn A-4

․내병성이 강하다.

․잦은 배토가 필요하며 관리가 어렵다.

  Penn G-2

․고온과 건조에 강하다.

․잦은 배토가 필요하며 관리가 어렵다.

  Pennlinks

․내병성이 강하다.

․여름에 밀도가 떨어지며 탯치가 많이 형성된다.

․달라스팟에 강하다.

  Penncross

․발아 및 그린 업이 빠르다.

․답압에 강하나 달라스팟에 약하다.

․잎이 넓다.



 ② 코로니얼 벤트그래스(Colonial bentgrass)

코로니알 벤트그래스는 낮게 깎기 할 경우 높은 밀도와 질감이 섬세한 잔디면을 형성한다. 반면 회복속도가 느리고, 내서성과 내마모성이 약하고, 내음성은 중간 정도이며 수분요구도는 높다.


 ③ 벨벳 벤트그래스(Velvet bentgrass)

벨벳 벤트그래스는 한랭지역에서 생육하며, 바늘처럼 엽폭이 좁아 매우 섬세한 질감의 잔디면을 형성한다. Agrostis 속중에서 밀도, 균일성, 내음성, 내서성 및 내한성이 우수하다. 반면 잔디밭 조성률과 회복률은 낮다. 



 

잔디의 특성

 

골프장 잔디 선정 시 잔디의 종류에 따라 환경 적응성 및 특성이 다르므로 이를 고려하여 잔디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표 6, 7).


표 6. 난지형 및 한지형 잔디의 특성 비교   

구  분

난지형 잔디

한지형 잔디

한국잔디류

(들잔디)

버뮤다

그래스

켄터키

블루그래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톨 훼스큐

크리핑 벤트그래스

생육형

포복형

포복형

포복형

포기형

포기형

포복형

번식방법

종자 및 지상, 지하 포복경

종자 및 지상, 지하 포복경

종자 및 지하 포복경

종자

종자

종자 및 포복경

질    감

보통

보통

좋다

보통

거침

매우 좋음

신초밀도

보통

높음

보통

보통

낮음

매우 높음

토양적응력

강함

강함

강함

보통

강함

강함

 조성속도

매우 느림

매우 빠름

보통

빠름

보통

보통

 회복속도

느림

매우 빠름

빠름

빠름

보통

빠름

 내마모성

강함

매우 강함

보통

보통

강함

보통

 내 한 성

강함

약함

매우 강함

매우 강함

강함

강함

 내 서 성

매우 강함

매우 강함

보통

약함

보통

보통

 내 건 성

매우 강함

매우 강함

약함

약함

매우 강함

약함

 내 음 성

약함

매우 약함

강함

매우 강함

보통

보통

 내 염 성

매우 강함

매우 강함

약함

약함

약함

약함

 내침수성

매우 강함

매우 강함

약함

약함

약함

약함

관리요구도

보통

보통

높음

높음

적음

매우 높음

비료요구도

보통

매우 높음

높음

보통

보통

높음

 깎기 높이

10~50㎜

25~50㎜

38~76㎜

25~76㎜

38~76㎜

0.4㎜

종자생산량

적음

적음

많음

많음

많음

보통

 탯 치 량

많음

적음

보통

보통

적음

보통

 내병성

강함

강함

보통

약함

보통

보통

 선충피해

심함

심함

-

-

-

-

 



표 7. 잔디 종류별 특성
  

구    분

난지(暖地)형 잔디

한지(寒地)형 잔디

생육적온

25℃ ~ 35℃

15℃ ~ 25℃

분 포 대

온난습윤지대, 온난반건조지대,

한지와 난지의 전이지대

한냉습윤지대, 온대와 한대 전이 지대

장    점

여름철에 생육이 왕성하고 내건성, 내마모성이 높음.

겨울철 기후가 한냉 건조한 경우가 아니면  연중 녹색유지, 내한성이 강함.

단    점

저온에 생육이 정지되어 엽색이 누렇게 변함. 휴면 기간이 김.

(연간 5~6개월)

여름철 고온다습한 기후에서 질병이 발생하여 생육이 불량하고, 하고(夏枯)현상이 나타나기도 함.

파종적기

봄~초여름

초봄~ 초가을

잔디종류

광엽형 

한국잔디류

중엽형 한국잔디류

켄터키 

블루그래스

크리핑 

벤트그래스

초장(㎝)

10 ~ 20

6 ~ 10

15 ~ 30

10 ~ 20

품    질

저 품질

중 품질

고 품질

매우 고품질

 엽폭(㎜)

5 ~ 8

3 ~ 4

2 ~ 4

1 ~ 3

일반적

특징

․▶내한성, 내답압성, 내서성 등이 강하고 관리가 용이

․▶3월 하순~4월 상순에 생육이 시작되고 기온이 10℃ 이하에서는 엽록소가 탈색되어 겨울에 휴면에 들어감

․▶생육패턴은 들잔디와유사

․▶녹색기간이  들잔디보다 연중 10~15일 정도 김

․▶생육속도가 들잔디보다 빠름.

․▶봄철 녹색화가 빠름

․▶비료 요구도가 높음

․▶생육속도가 빨라 자주 깎아 주어야함

․▶번식력이 좋아 잔디밀도를 높이는데 유리

․▶시각효과 좋음

․▶생육패턴은 켄터키 블루그래스와 유사

․▶낮은 깎기에 잘 견디며, 주로 골프장 그린에 이용

․▶엽색은 밝은 녹색을 띠고 있음

Update
status by items

학교/취업/연구소 0/ 610
헤드그린키퍼 0/ 746
프로그린키퍼 0/ 736
골프장CEO∙지배인 0/ 800
캐디마스터∙경기팀장 0/ 720
잔디클리닉 0/ 317
골프레저문화CEO/정보 0/ 449
골프산업학과/문의/자료 0/ 1,392
959
1,333,749

문의 / 자료

골프산업학과/문의/자료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잔디 생육환경에 대한 교육을 하려고 합니다

건희 잔디를 구입할 수 있나요?

학위논문 리뷰 데이 - 골프장 경영학

Konkuk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Golf is recruiting new students for the second semester of 2023.

골프코스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정기 자문을 받고 싶습니다.

드론으로 골프장의 잔디 상태를 찍어 분석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골프장 경영, 캐디운영, 골프코스 및 잔디 교육기관 - 건국대 미지원 골프장잔디 칼리지(분야)
골프장CEO/(총)지배인/헤드(프로)그린키퍼/경기팀장/캐디마스터
골프장,축구장,야구장,공원,정원,비탈면,옥상 및 조경용 잔디 생산/시공/관리/경영
골프산업학과/골프장매니지먼트 전공/골프코칭 전공/KU골프장잔디연구소
서울시 광진구 능동로 120, 건국대 산업대학원 골프산업학과(산학협동관 404-3호 )

T. 02-453-3786 / 010-6863-6555/ F. 02-2202-3786
jandishin@naver.com / www.kkugk.com